그랜저IG, K7(8스피커)

차량을 구입하려 할 때 고민 되는 것 중의 하나가 JBL옵션(+70)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기본 오디오로 할 것인가?
카오디오 사운드에 관심있는 오너라면 참으로 고민되는 내용일 것이다.
평생 카오디오 설계부터 시작해서 시스템 튜닝을 하는 사람으로써 몇가지 팁이 되는 이야기를 해드린다면

* 먼저 스피커 수가 많다고 소리가 좋을 것이라는 것은 환상이다.
카오디오는 청취 환경이 열악하기에 필수 스피커를 제외하고 가능한 스피커 수가 적으면 더 좋은 사운드를 만들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3WAY보다는 2WAY가 더 좋은 사운드를 만든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는 너무 높은 출력의 스피커가 너무 가까이 있으며 방향도 제 각각이어서 위상 맞추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여 높은 음량으로 들을 때 좋은 사운드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 다음은 순정 카오디오 사운드는 모든 오너를 위한 시스템으로 오로지 마켓팅을 위해 스피커 수를 늘린 것이며 어느 누구도 카오디오 사운드가 좋아서 차량을 선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판매가 늘지 않는 기능에 원가를 올리는 자동차 회사는 없으므로. 
따라서 옵션으로 마진을 남기기 위해 브랜드로 포장하고 기본 오디오보다 적당히 저음 BOOST시키고 고음 약간 더 높게 나오고, 스피커 수를 늘려 현혹하는 것이다. 

오너에 따라 다르므로 처방도 다르다. 
1. 카오디오 튜닝을 한번이라도 해봤다면
절대 JBL 사운드 옵션을 선택하면 안된다..
2. 사운드에 관심 있다면 기본 오디오를 선택한 후 카오디오 튜닝을 별도로 하는 것을 권한다.
3. 이 글을 읽을 가능성이 없는 정말 사운드에 관심없는 오너라면 JBL을 선택하는 것도 괜찮다. 

고음질 원음을 찾아 듣는다면

카오디오 샵을 하고 있어서가 아니라 평생 카오디오를 설계 튜닝해온 사람으로써 카오디오에 관심이 높다면 순정 오디오 옵션 JBL은 선택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여러번 이야기 했지만 이런 외장 앰프 시스템은 채널에 따라 음이 나누어져 있어 좋은 소리를 만들기가 어렵다. 
다만 더 나은 음질 화일ㅇ르 찾거나 고음질 원음을 찾아 듣는다면 JBL옵션을 선택한 후 무손실 원음 사운드 튜닝이 정답이다. 

무손실 원음 사운드 튜닝은 건물에 비유하자면 싹 밀어버리고 재건축을 하여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는 것.

JBL 옵션은 가구까지 모두 있는 빌트인 집을 구입하는 것이며 마음에 들지 않아도 기존 디자인은 유지하면서 가구를 바꾸고 도배를 하는 정도의 튜닝을 하는 것이다. 

일반 오디오를 구입하여 튜닝하는 것은 빈집을 구입하여 리모델링하는 것을 생각하면 되겠다.

그랜저 IG 8스피커의 기본적인 것을 알아본다.

이 차량은 어떤 튜닝을 한다해도 맨처음 해야하는 것은 앞도어 스피커 교체이다.
대시보드 좌우측 미드 트위터를 트위터로 교체하지 않으면 어떤 튜닝도 의미없는 튜닝이 된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콘덴서 4.7uF이 아니고 10uF 콘덴서 필터로 되어 있어 화실표 차이 만큼 트위터에서 중고음이 더 출력 된다는 의미로 이는 도어 미드레인지와 대역이 겹쳐 부드러운 중고음이 아니고 음이 거칠게 되고 음량을 올릴 수 록 찢어지는 사운드가 만들어 진다. 

1. 센터 스피커와 서브우퍼가 없다

이 시스템은 센터 스피커와 서브우퍼가 없다. 센터 스피커를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고음을 재생하는 트위터가 장착되는 대시보드 좌우 끝에 고음뿐 아니라 중음까지 출력하는 미드 트위터가 장착되어 보컬이 거칠고, 고음은 부족한 사운드로 음량을 높이면 찌그러지고, 라디오 같은 음질, 스테레오 음장감은 느낄 수 없으며 악기 소리는 들리지 않아 음량을 올렸다가도 내리게 되는 사운드이다.

따라서 앞 도어 스피커를 교체하면 트위터까지 교체되어 소리를 선명하게 만들수 있다.

스피커를 교체하면 출력이 낮아진다.

센터 스피커 처럼 동작하던 미드 트위터가 트위터로 바뀌어 일부 중음 보컬이 없어져 원래도 낮았던 출력인데 더 낮아 진다.

이제 출력도 올리고 스피커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앰프, DSP중 한 개를 선택하여 장착해야 한다. 

센터 스피커를 추가할 것인지가 사운드와 예산 설정에 중요하다.

센터 스피커를 추가할 것 인지가 사운드와 예산 설정에 중요하다.
센터 스피커를 추가하는 방법은 오로지 앰프(DSP)를 적용하는 방법 뿐이며 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채널수가 증가하기에 비용이 더 들어간다.

트위터를 바이앰프하는 것에 따라 비용이 달라진다

고음을 재생하는 트위터를 별도 앰프로 구동하는 바이앰프를 한다면 훨씬 높은 수준의 중고음을 만들 수 있다.
문제는 앰프 채널이 늘어 난다는것이다. 당연히 비용도 늘어나게 된다. 

센터 스피커와 바이앰프를 모두한다면

부품을 구입할 것인가? 제품을 구입할 것인가?

초보이든 경험자이든 고객의 수준에 상관없이 항상 합리적인 시스템 구성으로 정직한 카오디오 튜닝을 하며 밸런스 있는 사운드를 만드는 카오디오 튜닝 전문가 헤르만 카오디오가 소리를 만들어 드립니다.

사운드 튜닝은 어느 정도 나아져야 하는가에 대한 기준이 없다!

카오디오 튜닝을 원하는 고객들이 상상하는 사운드는 사실 모호하다.
선명하기를 원하고,
출력이 높아야 한다고,
저음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면서 풍부해지거나 단단한 저음을 원한다.
또한
사운드 스테이지와 스테레오 음장감
해상력과 밸런스 있는 사운드를 원하지만
어느 정도 비용과 튜닝이어야 원하는 사운드가 만들어질 것인지를 모르기에 두렵고, 망설이고 결국에는 가까운 숍을 찾거나, 이름있는 숍을 찾거나, 많이 장착하는 숍을 찾아가서 튜닝이 아닌 기부하는 튜닝을 하고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렇다면 어떻게 튜닝해야 하는가?

모든 오너의 고민
어떻게 해야 가성비 높은 튜닝이 가능할까?
어떻게 해야 원하는 소리를 만들 수 있을까?
이런 생각을 하시기 전에 알아야 하는 것이 있다.

소리를 들을 줄 알아야 한다는 것!

음악을 감상하는 데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어폰이나 헤드폰에서 기대하는 소리가 있고
홈 오디오에서 기대하는 소리
록 페스티벌이나 공연장에서 기대하는 소리
콘서트홀에서 기대하는 소리
성당이나 교회에서 듣는 소리
경연 프로그램이나 음악방송에서 기대하는 소리
휴대폰으로 들을 때 듣는 소리
카오디오에서 기대하는 소리
같은 노래라 할지라도 느끼는 감정은 모두 다르다.

밋밋한 저음
풍부한 저음

벙벙 거리는 저음
깔끔한 저음
묵직한 저음

부드러운 보컬
명료도 높은 보컬

부드러운 악기 소리
맑고 선명한 악기 소리

공간의 관점에서
센터 포커스와 음상의 크기 즉 사운드 스테이지가 어느 정도인지?
스테레오 분리를 어느 정도 느끼고 있는지?
서라운드의 의미를 알고 있는지?

소리를 듣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출력이다.
힘 있는 소리와 힘이 없는 소리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흔히 이야기하는 타격감 있는 사운드를 느낄 줄 아는가?

또한 같은 음악도 음량에 따라 다르게 들린다.
음량에 따라 고음과 저음이 다르게 느껴진다는 의미로 이를 라우드니스 특성이라고 한다.

부족한 부분을 채울 것인가? 좋은 사운드를 만들 것인가?

부족한 부분을 채운다는 것은?
전체적으로 마음에 들지만 부분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으며 적절한 가격을 투입하여 족집게 튜닝을 하는 것.
좋은 사운드를 만든다는 것은?
생각하는 모든 소리를 염두에 두고 튜닝 한다는 것이다.
목표가 분명해야 방향을 세우고 합리적인 튜닝을 할 수 있다.

나쁜 카오디오 튜닝은 무엇인가?

비용, 성향, 시스템과 관계없이 가장 나쁜 튜닝은 부품 구입을 사운드 튜닝이라고 착각하는 튜닝이다(가성비, 성능, 만족도는 상관 없으며 구매하여 장착하는 자체가 원하는 사운드라는 생각이기에 가격이 높으면 더 좋은 사운드가 만들어 질 것으로 생각하며, 조율은 알아서 자동으로 될 것이기에 고민할 필요 없는 튜닝)

대표적인 튜닝은

1. 스피커만 교체하는 튜닝
대부분의 오너는 카오디오 튜닝을 생각도 하지 않는다.
카오디오 튜닝을 생각했다는 것은 일정 수준 이상이라는 것이며 이런 오너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수준의 튜닝은 스피커 교체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2. 앰프(DSP)만 교체하는 튜닝
앰프(DSP)는 스피커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성향에 맞게 조율하기 위한 부품인데 저가의 순정 스피커를 구동하기에는 비용이 지나치게 과도하다.
이렇게 튜닝하려면 차라리 스피커 중급 이하+일반 파워 앰프 구성이 사운드가 더 낫다.

밸런스를 맞추지 않는 장착 또는 교체는 더 많은 비용이 추가로 들어간다

그랜저 IG 8스피커와 JBL 시스템 비교

일반 오디오는 순정오디오 자체 출력 4채널/8스피커
JBL사운드는 외장앰프는 11채널/12스피커

8스피커 일반 시스템을 분석해 보고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 봅니다.

이미 만들어져 출력되는 순정 사운드를 원하는 사운드로 만들려면 분석이 제대로 되어야 원인과 효과 그리고 방향을 세울수있다.
따라서 순정 오디오의 앰프 출력 특성과 여기서 출력된 신호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수있는 스피커 출력특성을 측정한 2마이크 RTA 특성을 보고 순정 사운드 시스템의 설계 의도와 스피커 위치 및 울림통의 효과와 사운드 포커스 및 공진점 등을 알아내어 반영해야 한다.

화살표 아래 쪽의 파형은 순정 오디오 출력 특성이고 윗쪽은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 신호RTA이다.
한마디로 아래 쪽 출력신호가 여러개의 스피커를 통하여 나타난 것이 윗쪽 RTA 파형인 것이다.
사운드를 개선하는 것은 제대로 된 분석이 우선이다.
모든 오너들이 FULL 튜닝을 하고 HI-END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오너에 따라서 부족한 부분만 보완해도 되는 오너,
카오디오 튜닝에 많은 비용을 쓰고 싶지 않은 오너,
원하는 사운드가 만들어진다면 더 많은 비용까지 생각하는 오너등 다양하다.